직장생활

사회복지 희망이음 그룹웨어 기능 살펴보기(#1 협업기능)

겔런 2023. 1. 1. 19:06

 

 

 

 

작년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에서 사회서비스포탈 희망이음으로 전환되며

 

여러가지 일반기업의 기능을 끌고 들어온 것들이 많습니다만

 

사내에서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기관이 많습니다.

 

기능별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한번 설명해보겠습니다.

 

 

 

 

 

 

협업방 왼쪽 기능정렬 탭의 기초모습입니다.

 

애자일(agile) 방식의 협업툴로 보통 사회복지쪽에서 이미 진행하고있는

 

대상자에 다양한 전문가들의 개입이 필요한 '사례관리'에서 기본적으로 이방식을 사용합니다.

 

 애자일(Agile)이란 단어는 ‘날렵한’, ‘민첩한’이란 뜻을 가진 형용사다. 애자일 개발 방식도 그 본래 의미를 따른다. 정해진 계획만 따르기보다, 개발 주기 혹은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는 방식을 뜻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애자일 - 프로그래밍에 집중한 유연한 개발 방식 (용어로 보는 IT, 이지현)

 

다만, 온라인보다는 분기, 반기, 연간 영역별 전문가가 직접 모여 회의를 하는 방식으로

 

사례관리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온라인으로 그대로 옮겨놓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거의 99% 사회복지조직이 관료적이기 때문에 모든 애자일방식의 기초인

 

모든 사람의 직급체계를 허물로 팀원 개개인에게 의사결정권을 부여한다는 것에는 

 

각 기관리더의 수용적인 태도를 겸비하고 있는지에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

 

원래는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의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알고 있고

 

유명한 협업툴로는 JIRA 의 ATLASSIAN SOFTWARE 가 있습니다.

 

 

Jira | 이슈 & 프로젝트 트래킹 소프트웨어 | Atlassian

Jira에서 애자일 및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기획, 트래킹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워크플로우를 맞춤 설정하고 협업하여 최고의 소프트웨어를 릴리즈하세요.

www.atlassian.com

 

 

 

 

 

 

 

먼저 글을 쓰기전에 그룹등록 및 주제등록을 해주어야 합니다.

 

밑으로 쭉 사례관리를 예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한 대상자의 사례관리를 진행함에 있어서 주 담당자가 그룹이름을 "OOO님 사례관리" 등으로

 

설정하고 사정영역별 전문가를 그룹에 들어올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현재 기관 내부인원은 초대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외부전문가를 초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관리탭입니다.  그룹등록을 했다면 주제이름을 설정하여 테마를 등록한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예를들어 대상자의 주거공간 상태가 매우 좋지 않고 이를 사례관리하는 업무가 기관에 주어졌다면

 

그주제에 대해 개입할 수 있는 다양한 설정을 묶을 수 있을 것입니다.

 

실제적으로 주거공간 수리에 필요한 인력과 물자를 한가지 주제

 

정신과적 개입이 필요하다면 이에 대한 상담(치료) 행위 주기와 호전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두번째 주제 등

 

다양한 주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진전도를 그룹에 속한 다른 사회복지사들이

 

달성수치를 확인하며 이에대해 종합적으로 개입할 수 있습니다.

 

 

 

 

 

 

 

 

 

 

 

 

 

사례관리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기관에서 일어나는 많은 업무에 이 협업툴을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소식지 제작을 진행하는데 총괄진행자가 협업글을 게시해 부서별로 진전도를 파악할 수도 있겠네요

 

희망이음이 다양한 버그와... 오류로 불편이 많지만

 

이런기능이 사회복지시설에서 제대로 작동만 한다면 

 

조금 더 효율적으로 또 유연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 같습니다.